글쓰기는 일반적 구조 양식을 알고 하는게 좋겠습니다.
출처 - http://www.beuni.com/be_new/u_its_doc/146148
영어 에세이를 쓰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한 정리 - 참고하세요. 좋은 글이라 제가 읽은 글을 편집해서 올려 놓습니다.
영어에세이(논술)의 2대 요소 = 언어적 표현능력 + 논리적 사고능력
영문에세이를 쓰기 위해 중요한 몇 가지 사항과 추천하는 사전에 대해 말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이 글을 쓰실때 제가 강조한 것처럼 논리적 일관성(coherence)/통일성(unity)/발전성(development)과 더불어 강조했던 언어적 표현의 다양성(diversity)/유창성(fluency)/정확성(accuracy) 등을 키우기 위해서는 몇가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전이나 참고서적이 필요한 데 제 수업을 들으시는 분은 최소한 아래 사전들을 구입하셔서 활용하기 바랍니다. 평소에 사전을 활용하시고 실전에 가시면 사전 없이도 평소에 친숙하던 표현이나 단어를 적극 활용하셔서 좋은 에세이를 쓰시기 바랍니다. 저는 번역시 거의 사전을 사용하지 않지만 사전이 주위에 있어야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just in case: contingency plan) 안심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선 권장하는 사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hesaurus 사전: 영어동의어사전
여기에는 여러 가지 사전이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여러 브랜드) 단어를 비슷한 의미로 바꿔 쓰거나 paraphrase할 때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러나 각각 단어의 용례를 알지 못하면 정확히 interchangeable이 안 되는 경우도 상당히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영작시 다양한 표현을 위해서 필요하며 Reading의 Vocabulary in context문제를 풀 때도 유용합니다.
(2) Dictionary of Collocation
이 사전은 영작시 정말로 유용합니다. 이 사전에는 우리가 영어로 문장을 만들 때 흔히 오류를 범하는 Collocation(연어)를 본격적으로 다룬 책이기 때문입니다. 잠시 Collocation에 대해 설명을 하면
1. 기적을 행하다./낳다. ---> ( ) a miracle(wonder)
2. 스트레스를 풀다./줄이다. ---> ( ) stress
3. 균형을 잡다. ----> ( ) a balance
4. 몸무게를 빼다 ---> ( ) weight
위의 괄호에 들어갈 영어 동사를 넣어봅시다. 아마 여러분은 여러가지 오류를 범할 것입니다. 또한 여러분의 오류는 Korean broken English (hence the word, "Konglish")가 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콩글리쉬의 예
1. do a miracle, bear a mi racle, make a miracle
2. release stress, eliminate stress, kill stress, relieve one"s stress, destroy stress, get rid of stress
3. make a balance, keep a balance, maintain a balance
4. subtract weight, take out one"s weight, lose one"s weight
표준영어로 써 보면
1. work a miracle(wonder)
2. relieve stress / reduce stress
3. strike a balance
4. lose weight
또 다른 예를 들어보면 한국말로는 똑같이 "뚜렷한"이라는 뜻을 가진 형용사이지만 뒤에 나오는 명사에 따라 선택되는 형용사가 달라진다는 점도 아셔야 합니다.
1. 뚜렷한 4계절 ----> four ( ) seasons
2. 뚜렷한 증거 ---> ( ) evidence
아마 이런 형용사가 생각나겠죠: clear, manifest, obvious, distinctive, distinct, evident, conspicuous, solid, striking, remarkable....
좀 더 얘기하자면 한국의 Korea Herald나 Korea Times지의 기자중에도 이런 Collocation을 몰라 어색하거나 이상한 영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 여러분의 비판능력이 필요한 때입니다. 미국이나 영국의 신문과 한번 비교해 보세요. 아무래도 한국의 영자신문(특히 한국인기자의 영문글)에는 어색하거나 억지로 만든 표현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수강생 여러분!(Listen up!) 열심히 노력하셔서 좋은 영문장을 쓰는 영자지 기자도 나오시면 너무 좋겠습니다.
위의 두 사전이외에도 기본적으로 영영사전과 한영사전도 있으면 좋겠죠. 그러나 한영사전의 경우 잘못 단어를 선택하면 정말 이상한 영어가 되기 때문에 주의하세요. 따라서 무엇보다도 Writing에서 중요한 것은 좋은 영문장을 많이 읽고 주의깊게 관찰하여(input) 자기의 것으로 체득한 후 다시 output할 수 있도록 많이 연습하시는 것이 지름길 아닌 지름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에세이의 기본 구조(Structure) 에 대해서 공부합시다. 기본적으로 에세이의 기본단위는 paragraph(문단)이고 단어가 모여서 문장(sentence)이 되고 문장이 모여서 문단이 되고 문단이 모여서 에세이가 되는 겁니다.
I. 에세이의 기본구조
영문 에세이 형식의 기본 구조는 Introduction-Body-Conclusion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서론-본론-결론과 같은 형식이다. 하지만 Introduction-Body-Conclusion에는 각각 꼭 포함되어야 할 필수포함사항(essentials)과 선택사항(options)이 있다.
1) 필수사항
Introduction : 에세이의 도입부. Introduction은 한절로 작성하며 General Statement(일반정보)와Thesis Statement(대주제)를 반드시 포함한다.
Body : Body Paragraph는 보통 두세 개의 절로 구성하며, 각 절에 Topic Sentence(소주제논제)와 Supporting Details로 구성한다. 각 Body와 Body사이는 적절한 Transition Word로 연결되어야 한다.
Conclusion : 한 개의 절로 작성하며, Main Idea를 다시 한 번 언급(Restatement of thesis)하고 본문내용을 요약(Summary)하여 에세이의 결론을 이끈다.
2) 선택사항
Introduction : 에세이의 첫 부분에 Hook(독자의 관심을 끄는 문장)을 쓰도록 한다. 자신의 에세이를 차별화할 수 있는 좋은 부분이다. 의문문/인용문/속담경구 등의 양식을 이용한다
.
Body : 각 절의 끝부분에 Topic Sentence를 다시 paraphrase하여 쓰는 Concluding sentence를 쓰도록 한다. 주의할 사항은 메시지(내용, 주장, 논조)는 같고 표현(문장구조)이 달라야 한다는 점이다.
Conclusion : Main Idea와 연관된 자신의 Personal comment나 eval!uation을 쓰는 것이 낫다.
구조별 설명
(1) Introduction
Introduction은 에세이의 첫번째 문단으로 에세이에서 작성자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main idea를 소개하는 단락이다. 즉, Introduction에서는 에세이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간략하지만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처음의 일반적인 내용에서 마지막 문장의 구체적 내용으로 글의 전개가 필요하다. Introduction에서는 글쓴이의 main Idea가 언급되어져야 하며, Main idea를 포함하는 한 문장을 Thesis Statement라고 한다.
Thesis Statement는 에세이에서 가장 중요한 문장으로 이후 Body Pa ragraph에서는 Thesis Statement에서 제시된 Main Idea를 전개하거나 예를 들어서 뒷받침하는 것이다. Introduction에서는 Body Paragraph의 내용을 독자에게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독자에게 앞으로의 글 전개 방향을 안내하는 내용이 포함되는데, 이를 Buleprint라고 한다.(Option)
(2) Body
Body Paragraph는 introduction에서 제시된 Thesis Statement 나 Main Idea를 전개하거나 뒷받침하는 Paragraph이다. 이 Body Paragraph 작성을 위해서는 주어진 질문에 대해 본인이 글 쓰고자 하는 방향을 정하고 글감 찾는 과정이 있는데, Brainstorming이라한다. 따라서 Pre-writing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brainstorming(아이디어 내기)와 outlining(개요 만들기)이다.
토플 에세이의 경우, 두세개의 Body Paragraph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Body Paragraph 첫 문장은 Paragraph의 중심 내용인 Topic Sentence로 시작한다.
( 각각의 Topic Sentence는 Thesis Statement의 부분집합이거나 protege라고 보면 된다. Thesis가 boss라고 생각!)
Topic Sentence는 Introduction의 Thesis Statement를 뒷받침하는 내용인 동시에, 각 Body Paragraph에서 언급할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 Body Paragraph의 중심 내용이다. 또한 이러한 Thesis Statement나 Topic Sentence를 세부적으로 뒷받침해주는 구체적인 예나 설명이 필요한데 이를 Supporting Details이라 한다.
또한 각 Body Paragraph는 각각이 수평적인 관계이므로, 이를 매끄럽게 연결해 주는 접속어가 필요한데, 이러한 “however, in addition, also, besides, first, second” 등을 Transitions 라고 한다. 논리적 연결과 일관성을 위해 연결어구를 의식적으로 쓰는 연습을 하세요.
(3) Conclusion
Conclusion의 구조에는 3가지 요소가 있는데 theis+summary+comment 이다. 이들을 배치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첫째, theis+summary+comment 형이 있고 주로 In conclusion이 Transition으로 처음에 많이 나온다. 둘째 summary+thesis+comment형이 있는데 이 경우 In summary나 To sum up이 접속어구로 많이 등장한다.
글쓰기 능력을 키우려면 무엇보다도 좋은 문장들을 많이 독해하시고 세밀하게 관찰하여 Copy하는 것(-> creative imitation: 창조적 모방)이 중요하고 또한 최대한 많이 연습하고 교정받는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Practice makes perfect!
Essay topic별 내용적 전략 -
Essay Structure의 기본적 elements
1.Introduction- Hook/General Statement/Thesis
2.Body - Topic Sentence/Supporting Details/Restatement
3.Conclusion-Theis/Summary/Final Comment
자신의 에세이를 보면서 위의 요소 중 빠진게 뭔지 확인하도록 합시다
- 에세이의 구조적 전략 -
II. 에세이의 기본구조
영문 에세이 형식의 기본 구조는 Introduction-Body-Conclusion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서론-본론-결론과 같은 형식이다. 하지만 Introduction-Body-Conclusion에는 각각 꼭 포함되어야 할 필수포함사항(essentials)과 선택사항(options)이 있다. -> Burger/Sandwich 구조!!!
1) 필수사항
Introduction : 에세이의 도입부. Introduction은 한절로 작성하며 General Statement(일반정보)와Thesis Statement(대주제)를 반드시 포함한다.
Body : Body Paragraph는 보통 두세 개의 절로 구성하며, 각 절에 Topic Sentence(소주제논제)와 Supporting Details로 구성한다. 각 Body와 Body사이는 적절한 Transition Word로 연결되어야 한다.
Conclusion : 한 개의 절로 작성하며, Main Idea를 다시 한 번 언급(Restatement of thesis)하고 본문내용을 요약(Summary)하여 에세이의 결론을 이끈다.
2) 선택사항
Introduction : 에세이의 첫 부분에 Hook(독자의 관심을 끄는 문장)을 쓰도록 한다. 자신의 에세이를 차별화할 수 있는 좋은 부분이다. 의문문/인용문/속담경구 등의 양식을 이용한다
.
Body : 각 절의 끝부분에 Topic Sentence를 다시 paraphrase하여 쓰는 Concluding sentence를 쓰도록 한다. 주의할 사항은 메시지(내용, 주장, 논조)는 같고 표현(문장구조)이 달라야 한다는 점이다.
Conclusion : Main Idea와 연관된 자신의 Personal comment나 eval!uation을 쓰는 것이 낫다.
명확하고 논리정연한 글을 쓰기 위해서는 다음의 원칙을 잘 지켜야 합니다.
% The Principles of Clear Writing
Rule 1. Use short sentences for complicated thoughts.
Rule 2. Use active voice rather than passive voice wherever appropriate.
예) In the event that Joint Life Coverage has been selected by you
-> If you have selected Joint Life Coverage
참고) Passive voice > Active voice
1. emphatic subject
2. long subject
3. order
4. practice
5. idiomatic
Rule 3. Make verbs do the work in your sentences:
choose your most import!ant words- verbs- carefully, and make them count.
예 1) Please provide a statement of why you are interposing an objection to the question.
-> Please state your objection to the question.
2) It is my recommendation to you as regards the course of action you can probably pursue.
-> I recommend the following course of action.
-> You might consider the following course of action.
Rule 4. Remove surplus words to make it redundancy-free.
예 1) Our qualified experts place emphasis on the market"s instability, and it is their careful and studied opinion that Atlanta"s growth rate may decline in the event that the economy falters.
-> Our experts emphasize the market"s instability and they believe that Atlanta"s growth rate may decline if the economy falters.
예 2) In the event that Joint Life Coverage has been selected by you
-> If you have selected Joint Life Coverage
Rule 5. Remove redundant legal phrases.
many diverse -> a wide variety of
the reason --- is because --- --> the reason --- is that --
Rule 6. Use everyday language whenever possible.
예) sleep like a log ---> sleep like a baby
Rule 7. Prefer specific and concrete words: A direct, simple statement would improve the message.
The firm has concurred with the effort to augment its personnel recruitment parameters.
-> The firm is actively recruiting from minority group.
Rule 8. Place modifier carefully.
The company"s ownership percentage includes 700 shares or 2.7 percent of the Bank"s outstanding shares, which were issued as director"s qualifying shares.
-> The company"s ownership percentage includes 700 director"s qualifying shares, which amount to 2.7 percent of the Bank"s outstanding shares.
Rule 9. Avoid placing too many subordinate clauses in one sentence.
We are persuaded that the husband understandably would not know that the mere fact that the parties had cohabited before their formal marriage would later be made on the basis of a theory that the parties had a common law knowledge.
-> We are persuaded that the husband would not know that cohabitation might amount to a common law marriage.
Rule 10. Use conventional punctuation marks.
(1) Comma (,)
1. Use commas only where they are required.
2. Use a comma after introductory material.
3. Use the comma if you start with prepositional phrases of three words or more: on the average, in the mean time, for best results.
(2) Semicolon ()
1. Use a semicolon to separate two independent clause not joined by one of the coordinating conjunctions (e.g. for, and, nor, but, yet, sometimes)
2. Use a semicolon between independent clauses by conjunctive adverbs including accordingly, besides, furthermore, therefore, nevertheless, however, otherwise, hence, thus, and consequently.
(3) Colon (:)
1. Use a colon to introduce formal statement.
2. Use a colon to introduce long questions.
3. Use a colon to introduce an independent clause that summarizes or particularizes the thought in the preceding clause.
4. Use a colon to introduce a series of words, phrases, or clauses that specify stated in the preceding clause.
5. Place a colon after "the following," and "as follows."
(4) Dash
A - B (B = afterthought of A : a wide range of function)
(5) Hiphen
once-in-a-lifetime chance
cutting-edge technology
time-consum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