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IT

도메인 등록 vs DNS (IP) 등록 오프라인 가게에 비유하면, 가게이름을 정하고 가게간판을 제작하는 행위까지가 도메인 등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제작된 간판을 실제로 가게가 있는 빌딩에 거는 것이 DNS 등록이라 할 수 있겠다. aaa.com 이라는 도메인 등록을 한다고 예를 들어 보자. 새 도메인 등록을 한다는 것은 그 도메인의 소유주가 되는 것이다. 이 도메인을 가지고 웹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서버 구입을 하고, 서버를 IDC에 입주하든지 하고, 서버의 IP 주소 (예, 123.100.10.5) 를 할당받는다. 제대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aaa.com 이라는 도메인을 서버 IP와 연결시켜야 한다. 이처럼 DNS 서버에 새 도메인의 실제 IP주소값을 등록하는 것을 DNS 등록, IP 등록이라 한다. 참고) DNS란 Domain N.. 더보기
웹2.0 의 핵심 예전 블로그에서 이동한 글입니다. 작성일 2007/06/25 00:03 http://keylink.tistory.com/1 기본 정의 많은 사람들이 웹2.0을 논하고 있다. 웹2.0을 정의 또는 설명할 때 가장 기본적인 키워드는 "개방, 참여, 공유"이다. 그거면 충분하다. 그러면서 또한 뭔가 빠져 있다. 이 기본 정의는 사용자 관점에서의 웹2.0 정의에 가깝다. 사업자 관점에서 보면 웹2.0 사업은 개방, 참여, 공유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플랫폼이란 場이며, 터이다. 사업 관점에서 플랫폼은 곧 시장(市場)이다. 웹2.0 사이트는 누구나 와서 흥정하며 거래할 수 있는 곳이다. 시장이라고 해서 꼭 금전적이거나 상업적일 필요는 없다. me2day, playtalk 처럼 정서,정보를 공유하는 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