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가게에 비유하면,
가게이름을 정하고 가게간판을 제작하는 행위까지가 도메인 등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제작된 간판을 실제로 가게가 있는 빌딩에 거는 것이 DNS 등록이라 할 수 있겠다.
aaa.com 이라는 도메인 등록을 한다고 예를 들어 보자.
새 도메인 등록을 한다는 것은 그 도메인의 소유주가 되는 것이다.
이 도메인을 가지고 웹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서버 구입을 하고, 서버를 IDC에 입주하든지 하고,
서버의 IP 주소 (예, 123.100.10.5) 를 할당받는다.
제대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aaa.com 이라는 도메인을 서버 IP와 연결시켜야 한다.
이처럼 DNS 서버에 새 도메인의 실제 IP주소값을 등록하는 것을 DNS 등록, IP 등록이라 한다.
참고) DNS란 Domain Name Service 로, 도메인이름을 인터넷상의 실제 서버의 주소 (IP address)로 변환,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DNS를 제공하는 컴퓨터서버를 네임서버(name server)라 한다.
일반적으로 IDC는 네임서버를 여러대 제공하고 있다.
참고) 도메인 등록 기관: 도메인 등록은 전세계에서 하나의 기관에서 주관하고 있다. 이 기관이 ICANN 이다. 각국에서는 대표기관이 ICANN 에 가입하여 각 나라의 도메인 등록을 주관한다. 한국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도메인 주관 기관이다.
가게이름을 정하고 가게간판을 제작하는 행위까지가 도메인 등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제작된 간판을 실제로 가게가 있는 빌딩에 거는 것이 DNS 등록이라 할 수 있겠다.
aaa.com 이라는 도메인 등록을 한다고 예를 들어 보자.
새 도메인 등록을 한다는 것은 그 도메인의 소유주가 되는 것이다.
이 도메인을 가지고 웹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서버 구입을 하고, 서버를 IDC에 입주하든지 하고,
서버의 IP 주소 (예, 123.100.10.5) 를 할당받는다.
제대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aaa.com 이라는 도메인을 서버 IP와 연결시켜야 한다.
이처럼 DNS 서버에 새 도메인의 실제 IP주소값을 등록하는 것을 DNS 등록, IP 등록이라 한다.
참고) DNS란 Domain Name Service 로, 도메인이름을 인터넷상의 실제 서버의 주소 (IP address)로 변환,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DNS를 제공하는 컴퓨터서버를 네임서버(name server)라 한다.
일반적으로 IDC는 네임서버를 여러대 제공하고 있다.
참고) 도메인 등록 기관: 도메인 등록은 전세계에서 하나의 기관에서 주관하고 있다. 이 기관이 ICANN 이다. 각국에서는 대표기관이 ICANN 에 가입하여 각 나라의 도메인 등록을 주관한다. 한국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도메인 주관 기관이다.